안녕하세요? 심콩달콩네입니다.
오늘이슈는 헤나 염모제 8개 제품에서 세균 기준치 초과 세균이 검출되었다는 뉴스가 있어서 알아보았습니다.
시중에서는 팔리는 헤나 염모제 8개 제품에서 안전 기준치의 최대 1만1천 배에 달하
는 세균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.
이중 2개 제품에서는 기준치를 넘는 중금속도 나왔다고 하는데요~
한국소비자원은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았다고 광고한 헤나 염모제 9개 제품을 대상으
로 안전성과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22일 발표했습니다
제품 가운데 8개는 총호기성생균(세균 수와 진균 수의 합)이 1g당 22만~1천100만
개 검출돼 안전 기준치(1g당 1천 개)를 초과했습니다.
세균이나 진균에 오염된 화장품을 사용하면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, 특히 상처가
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염증이 생길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습니다.
8개 제품 가운데 2개에서는 접촉성 피부염과 홍반, 부종 등을 일으키는 중금속인 니켈
이 각각 1g당 11㎍(마이크로그램·100만분의 1g), 18㎍ 검출돼 안전 기준치(10㎍/g)
를 초과했습니다.
니켈이 검출된 제품 중 1개에서는 p-페닐렌다이아민(PPD)도 검출돼 화학성분이 들어
가지 않았다고 표시한 광고와 달랐습니다.
PPD는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고, 눈에 자극을 주는 물질입니다.
먹거나 흡입하면 간·신장 손상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반면 PPD를 첨가하지 않았다고 광고한 일반 염모제 10개 제품은 모두 PPD가 검출되
지 않았고, 다른 안전기준에도 문제가 없었습니다.
일부 염모제는 제품 포장이나 온라인 판매 페이지에 적합하지 않은 표시·광고를 했고
조사대상 제품 19개 가운데 6개 제품은 '부작용 없음', '인체에 무해함' 등의 표현을 사
용했습니다.
천연 성분을 원료로 한 헤나 염모제도 개인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
소비자에게 오인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습니다.
9개 제품은 '모발이 굵어짐', '탈모 예방' 등의 문구로 해당 제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할
수 있는 표시·광고도 했습니다.
PPD를 배제한 저자극 제품으로 광고한 7개 제품은 PPD 대신 '황산톨루엔-2,5-디아
민'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 물질 역시 피부와 접촉하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소
비자원은 설명했습니다.
소비자원은 염모제를 사용하기 전 패치 테스트를 통해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것
을 당부했습니다.
패치테스트는 팔 안쪽 또는 귀 뒤쪽에 염모제를 동전 크기로 바르고 피부 반응을 확인
하는 것입니다.
소비자원은 관련 사업자에게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을 자발적으로 회수하고, 표시·
광고를 개선하도록 권고했습니다.
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염모제 안전성과 표시·광고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도록 요
청할 계획이라고 합니다.
헤나 염모제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관리 감독을 강화해서 소비자들이 믿고 안전
하게 사용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하니 사용전에 꼭 패치 테스트 하시기 바랍니다.
항상 건강하세요
경기도 재난지원금 2차 (0) | 2021.01.30 |
---|---|
더블하트 젖병세정제 이물질 발견 (0) | 2020.12.16 |
2020 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 조기 지급 (0) | 2020.08.19 |
택배 없는 날 (0) | 2020.08.11 |
스타벅스 록시땅 (0) | 2020.08.04 |